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아이와가볼만한곳
- 유아어린이추천도서
- 국립현대미술관서울관
- 꼭읽어야할그림책
- 서울가볼만한곳
- 소묘
- 데생
- 백희나
- 아이가꼭읽어야할그림책
- 볼만한전시
- 읽어야할그림책
- 가볼만한전시
- 아동미술
- 국립현대미술관서울
- 찰흙놀이
- 석파정서울미술관
- 그림책육아
- 추천그림책
- 서울나들이
- 점토놀이
- 홈스쿨미술
- 부암동가볼만한곳
- 어린이추천도서
- 여름그림책
- 안녕달그림책
- 미술놀이
- 그림책교육
- 어른도읽는그림책
- 서울시립미술관
- 비룡소그림책
- Today
- Total
그래나무의 미술광장
나무판에 그리기, 아크릴물감 채색, 나무그리기 본문
한국화가 이왈종 작가의 작품 보신 적 있으신가요?
전 이왈종 작가의 작품을 보면 분주했던 마음이 가라앉아요. 어느새 편안해지는 것을 느낍니다.
제주도의 자연 풍경과 일상에서 벌어지는 우리들의 삶을 녹아내며 작가 특유의 해학으로 잘 표현하였지요. 이상향을 보여주는 그의 작품은 일반적인 전통 동양화에서 추구했던 이상화된 풍경과는 달라요. 우리의 삶이 투영된 현실과 결합한 이상 세계를 보여주기 때문에 더 공감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.
우리 아이들도 이왈종의 작품을 함께 보며 자신이 좋았던 기억, 일상, 원하는 꿈 등을 자연풍경과 함께 재구성하여 담아내기로 했어요. 가끔은 이렇게 작가들의 작품을 참고하여 내 생각을 결합하는 것도 좋은 공부가 됩니다. 평소에 해보지 못한 시도들을 할 수 있거든요.
재료는 나무판을 준비했어요. 저는 세로 30cm, 가로 22센티, 두께 4mm 정도의(30cmx22cmx4t) 나무판을 준비했어요. 재료만 달라져도 아이들이 굉장히 좋아하거든요.
나무판을 구입하고 싶다면 인터넷 검색창에 합판 또는 MDF를 검색해서 주문하시면 될 것 같아요. 또는 집에 안 쓰고 굴러다니는 아무 나무판이나 박스지도 좋습니다. 아크릴 물감이 잘 발리거든요.
먼저 연필로 스케치를 해줍니다. 평소 종이 위에만 하다가 나무 판재 위에 하니 스케치하는 느낌도 다르고 훨씬 재밌어합니다.
그리고 큰 배경을 먼저 과감하게 채색해 줍니다. 스케치를 다 덮어줘도 괜찮아요. 다 마른 후 그 위에 색을 올려줘도 잘 올라가거든요.
너무 작고 세밀한 부분들은 색연필이나 사인펜으로 칠해주는 것이 좋습니다.
이제 아크릴 물감으로 차근차근 색을 칠해줍니다.
나뭇잎은 면봉으로 찍어 표현해 보았습니다. 다양한 재료로 표현하니 아이들이 집중해서 작업을 이어나갑니다.
면봉으로 물감 찍어 그리기는 늘 아이들에게 인기 만점이지요.
그림의 일부분은 입체감을 주기 위해 박스지를 그려 붙여주기도 하는 등 사양한 시도를 해보았지요.
자 그럼 아이들의 완성 작품을 보실까요?
나무판 뒤에 고리를 달아줘서 벽에 걸 수 있도록 해줬는데요. 그냥 기대어 세워놔도 좋았습니다. 만약 나무판이 없다면 택배 박스지에 아크릴 물감으로 어떤 주제라도 상관없으니 도전해 보세요. 종이에 채색할 때와 색다른 기분을 느낄 수 있어서 아이들이 굉장히 좋아합니다.
나무를 잘 그리고 싶다면--->https://artsquare.tistory.com/114
나무 그리기(나무 연필 드로잉)
아이들은 자라나면서 그 나이대에 거쳐야 할 발달 단계를 거치게 되죠. 아동미술도 발달단계가 있는데요, 7세~9세 정도에는 상징적이고 개념적인 도식화된 그림을 그립니다. 아이들을 키워보셨다면 느끼셨을 거예..
artsquare.tistory.com
'아동미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집에서 미술놀이- 종이로 놀기, 종이조각, 종이놀이터 (0) | 2020.02.27 |
---|---|
시계 만들기(우드락, 시계무브먼트 이용) (0) | 2020.01.31 |
나무 그리기(나무 연필 드로잉) (0) | 2020.01.27 |
소묘 구 그리기 (0) | 2020.01.22 |
소묘 원기둥 그리기 (0) | 2020.01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