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서울시립미술관
- 부암동가볼만한곳
- 서울나들이
- 아동미술
- 찰흙놀이
- 비룡소그림책
- 점토놀이
- 어른도읽는그림책
- 국립현대미술관서울
- 홈스쿨미술
- 그림책교육
- 석파정서울미술관
- 어린이추천도서
- 가볼만한전시
- 안녕달그림책
- 읽어야할그림책
- 여름그림책
- 국립현대미술관서울관
- 볼만한전시
- 미술놀이
- 유아어린이추천도서
- 백희나
- 아이가꼭읽어야할그림책
- 아이와가볼만한곳
- 데생
- 소묘
- 추천그림책
- 꼭읽어야할그림책
- 서울가볼만한곳
- 그림책육아
- Today
- Total
그래나무의 미술광장
소묘 선 긋기, 명도 단계 연습 본문
소묘는 선을 어떻게 쓰느냐가 중요한 핵심입니다. 소묘를 통해서 선이 주는 다양한 매력을 느낄 수 있죠. 그러나 사실 초등학생에게는 어려운 과정입니다. 전 개인적으로 초등학생 저학년까지는 소묘 수업을 추천하지는 않습니다. 빠르면 3학년에서 4학년 올라가는 겨울방학 때나, 초등학교 고학년 때 익혀 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해요. 그리고 이 시기에 소묘만 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. 선을 사용하는 방법을 익히기 위한 과정으로 적절하게 사용해야지 소묘만 파고드는 것은 별로 추천하지 않습니다.
그러나 소묘 수업을 하게 되면 연필을 좀 더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연필 하나로 명암, 형태, 양감, 질감, 입체감 등을 표현하기 때문에 탄탄한 미술 실기력을 다질 수 있습니다. 종이, 연필, 지우개만 있으면 아이디어를 위한 스케치나, 크로키, 드로잉부터 세밀하고 완성도 높은 정밀묘사까지 가능한 것이지요.
이젤에 종이를 놓고 선 연습을 해보도록 할게요. (5절에 4B연필을 사용했습니다.) 선을 길게 길게 수직선과 수평선을 먼저 연습해 봅니다. 그냥 무작정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꽉 채우다 보면 자기가 어떤 선을 사용하고 있는지 모를 수 있어요. 조금 떨어뜨려가며 내 선을 관찰하면서 연습하는 것을 추천합니다.
긴 선을 사용할 때의 핵심은 팔 전체를 사용하는 것입니다. 손목으로 깨작깨작 선을 그리면 절대 실력이 늘지 않아요. 팔 전체를 수평과 수직으로 움직이며 균일한 직선 사용을 연습해 보아요.
연필을 잡을 때는 엄지와 검지를 이용해서 잡고 중지부터 나머지 손가락은 힘을 빼고 살짝 감싸주시면 됩니다. 지금처럼 긴 선 연습을 할 때는 연필을 길게 잡고 앞에 언급한 것처럼 팔 전체를 이용합니다.(짧고 진한 선을 그릴 때는 엄지와 검지의 위치가 연필심 쪽으로 올라가야 합니다. 연필을 짧게 잡아야 하는 것이죠. 그리고 자연스럽게 팔 전체의 힘보다는 손목의 힘을 사용하게 됩니다.)
수평선, 수직선을 해봤으면 사선도 해봅니다. 내가 써보지 않은 근육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어색하고 내 맘대로 되지 않아요. 당연한 것이니 아이들을 격려해 주면서 진행하면 됩니다
직선을 연습해 보았으면 원도 그려봅니다. 아 역시 어렵다고 합니다. 당연하지요~
자 그럼 선 연습을 해봤으니 명암 단계를 표현해 볼까요?
명도 단계를 표현할 줄 알아야 그림에서 입체감과 원근감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. 그럼 훨씬 풍부한 표현들을 맘껏 할 수 있게 되죠.
성인의 경우 보통 9~12개 정도의 단계로 표현을 하지만 아이들에게는 7단계로 주어 표현하도록 했습니다. 5단계로 나누어도 충분할 거란 생각이 듭니다. 5단계의 명도 변화로도 초등학생이 표현할 수 있는 입체감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거든요.
우선 앞에 길게 선 긋기 했던 방식을 짧은 선으로 바꾸어 다시 연습해 봅니다.
선은 한 방향으로만 사용하면 안 됩니다. 앞에 선 긋기 연습을 했던 것처럼 수평선, 수직선, 양방향 사선 등 조금씩 각도를 바꿔가면서 선을 그어야 단단하게 밀도를 채워 올라갈 수 있습니다.
아래 어두운 색부터 시작하여 점점 밝은 색을 표현하도록 했고요. 제일 아래 부분을 채우고 그리고 그 윗부분을 채우면서 다시 아랫부분을 한번 더 채우는 방식으로 하면 단계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이지요.
아이들이 시작하면 꼭 하는 말이 있습니다. "선생님이 하시는 것 보면 쉬워 보였는데 단계 내는 게 생각보다 어려워요!!" 단계가 확실히 표현되려면, 조금의 선 차이로는 어림없습니다. 어둠은 더 어둡게, 밝음은 더 밝게 선의 밀도가 확실히 달라야 합니다.
경계선 바깥으로 나오는 선들은 중간중간 지우면서 해야 합니다. 나중에 마무리 단계에서 지우려고 하면 색이 너무 진하게 남아 잘 지워지지 않거든요.
자 그럼 아이들이 표현한 명도 단계를 볼까요? 처음이라 완벽하진 않지요. 그러나 굉장히 지루할 수 있는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최선을 다한 모습이 정말 보기 좋았습니다.
위 작업들은 주로 초등학교 곧 다음 학년에 올라가는 3~ 4학년 아이들을 대상으로 진행했고요, 이 연습을 바탕으로 육면체, 원기둥, 구 그리기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.
소묘 육면체 그리기가 궁금하다면--->https://artsquare.tistory.com/107
소묘 육면체 그리기
이전에 선 긋기와 명도 단계 표현에 대한 글을 올렸었죠~--->https://artsquare.tistory.com/79 소묘 선 긋기, 명도 단계 표현 연습 소묘는 선을 어떻게 쓰느냐가 중요한 핵심입니다. 소묘를 통해서 선이 주는 다..
artsquare.tistory.com
'아동미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묘 원기둥 그리기 (0) | 2020.01.17 |
---|---|
소묘 육면체 그리기 (0) | 2020.01.13 |
스트링 아트 (3) | 2020.01.06 |
인체(사람) 동작 드로잉- 스케이트 타는 모습 (2) | 2020.01.01 |
겨울잠 자는 동물들과 자작나무가 있는 밤풍경 그리기 (0) | 2019.12.25 |